content=
로타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등
증상: 구토, 설사, 배변 이상
치료: 수액 투여, 항바이러스제 투여
예방: 백신 접종, 위생 관리
대장균, 사람균, 레프티스균 등
증상: 구토, 설사, 배변 이상
치료: 항생제 투여, 수액 투여
예방: 위생 관리
회장 점막 염증
증상: 통증, 설사
치료: 항염증제 투여
예방: 스트레스 관리
면역 이상
증상: 만성 설사
치료: 영양 관리, 치료
예방: 건강 관리
강아지 사이에서 전파되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원인이 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주로 배설물을 통해 전파되며, 강아지가 서로 배설물을 물거나 먹을 때 감염됩니다. 또한 강아지 사이에서의 직접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보육 시설, 동물 병원, 정원 등에서 강아지 간 접촉 빈도가 높아 집단 감염이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증상
발병 초기에는 강아지의 섭식 활동과 배설 습관의 변화가 처음 나타납니다. 구토, 설사, 배변 이상 외에도 열, 쇠약, 빈혈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후 배설 물의 양이 감소하고, 검은색 배변이 나타나며 소변도 적어집니다.
치료
수액 투여, 항생제 투여, 배설 조절 등입니다. 수액 투여로 탈수를 막고, 항생제는 감염을 억제합니다.
예방
백신 접종과 강아지 간 접촉 통제, 배설 물 처리 주의가 중요합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회복 가능성이 높지만, 치료 초기 탈수나 영양 부족으로 사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강아지를 감염시키는 파보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입니다. 파보바이러스는 치료하지 않으면 치사율이 90% 이상이 넘는 질환입니다. 강아지 배설물과 점막 분비물을 통해 쉽게 전파됩니다. 특히 강아지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 공동 이용 도구, 사료, 배설 후 손 씻기 등을 통해 감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증상
메스꺼움, 설사, 배변 이상, 열, 빈혈, 쇠약 등이 나타납니다. 특히 배변에서 혈소가 관찰되며, 소변 양도 감소합니다.
치료
수액 투여, 항생제 투여, 영양 지원입니다. 수액 투여로 탈수를 예방하고, 항생제는 감염을 억제합니다.
예방
백신 접종, 강아지 간 접촉 통제, 배변 처리 주의, 개인 위생 관리가 중요합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회복률이 높지만, 치료 초기의 탈수나 영양 부족으로 사망도 있습니다.
강아지 중성화 수술 이해하기 (45) | 2024.02.05 |
---|---|
노견의 건강과 질병 관리 (5) | 2024.02.04 |
강아지 쿠싱증후군 이해하기: 원인, 증상, 치료법, 부작용 (45) | 2024.02.02 |
강아지 스테로이드 복용 시 부작용 및 치료법 (4) | 2024.02.01 |
강아지의 비만 이해하기: 원인, 증상, 예방법 (6) | 2024.01.31 |